01. 재무관리의 의의-제1절,제2절
기업의 가치평가 재무관리란 넓은 의미에서는 금융과 관련된 투자론, 금융기관론, 기업 재무론을 포함한 재무학(finance)을 말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는 기업의 자금과 관련된 활동을 다루는 기업 재무론(corporate finance)을 말한다.
제1절 자금의 순환과정
기업 재무론의 관점에서 재무관리는 기업 입장에서 자금의 투자와 조달에 관한 최적 의사결정을 다루는 것이므로 먼 저 기업과 관련된 자금이 어떻게 흘러가는지에 관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업에 대한 괜찮은 아이디어를 가지 고 있으나 투자할 자금이 없는 경영자는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여 사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금은 투자자들의 요구(needs)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조달된다. 첫 번째는 위험부담 없이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채권자)는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bond)에 투자하게 되며, 이를 발행한 기업은 사업의 성과와 관계없이 고정적인 이자와 정해진 원금을 지급하게 된다. 두 번째는 기업 이 수행할 사업에 대한 위험을 부담하면서 사업에서 기대되는 높은 수익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주주)는 기업이 발 행하는 주식(stock)에 투자한다. 이를 발행한 기업은 사업의 성과에 따라 배당을 지급하게 되며, 주식투자자는 사업의 성과가 좋을수록 더 많은 배당을 받거나 보유한 주식의 가치가 더 높아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채권자와 주주로부터 조달된 자금은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산에 투자되며 현금유입을 발생시킨다. 영업활동을 통해 기업에 유입되는 현금흐름 중 일부는 기업의 유지와 성장을 위해 재투자되며, 나머지는 투자자금에 대한 대가로 채권자와 주주에게 지급된다. 이때 채권자에게 우선권이 있으므로 먼저 이자를 지급하고, 잔여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된다. 이러한 배분 과정으로 인해 주주를 잔여 지분권자라고도한다.
제2절 재무관리의 기능
재무관리는 기업이 필요한 자금의 조달과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 수행하며 이를 통제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재무관리의 기능을 설명하기에 앞서 간단히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재무 상태표의 왼쪽(차변)에 기재된 자산(asset)은 크게 단기에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과 장기간 사용되는 고정 자산으로 구분하여, 투자자에게 투자자금이 언제 현금화되어 기업에 유입될 지에 관한 정보를 알려준다. 또한 재 무상태표의 오른쪽(대변)에는 조달자금의 성격에 따라 부채(liability)와 자기 자본(equity)으로 구분하여 표시된다. 투 자자는 기업의 재무상태표를 통해 기업에 조달된 자금의 규모와 내역, 그리고 운용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재무관리의 기능은 재무상태표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투자결정기능 : 재무상태표의 (차변과 관련된 기능으로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어떤 자산에 얼마의 금액을 배분하여 투자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즉, 기업이 한정된 자원인 자금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 용할 수 있는 최적 자산구조(optimal assets structure)를 찾는 것이다. 이러한 투자 결정은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 결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동자산에 대한 투자 결정은 운전자본관리(working capital management)라 하여,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해 빈번히 발생하는 단기 운영자금의 관리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운전자본관리를 통해 기 업의 단기 지불능력을 향상해 흑자가 남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재무적인 곤경에 빠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정자산의 투자 결정은 자본예산(capital budgeting)이라 하는데,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 결정은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며 장래의 수익과 위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 에 도움이 될 정보를 다양한 측면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자본예산기법이 존재한다.
2 자본조달결정기능 : 재무상태표의 대변과 관련된 기능으로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함에 있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기업은 자금 조달에 따른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데 이를 자본비용(cost of capital)이라 하며, 자본비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로 재무관리 담당자가 고려해야 할 사안이다. 기업은 타인자본(부채) 또는 자기자보(주식)으로 자금조달이 가능하므로 각 원천별 자금조달의 특징을 확인하여 자 본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자본 조달의 최적 조합을 찾는 것이 재무관리자의 역할이 된다.
3. 배당결정기능: 기업이 경영활동의 성과인 이익을 주주에게 지급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기능이다. 즉, 이익의 얼마를 배당으로 지급하고 얼마를 유보하여야 하는가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유보라는 것이 주주가 재투자한 금액 인 점을 고려할 때 자본조달과 관련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당 결정 기능을 자본조달 결정 기능에 포함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