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지식창조활동, 구조조정,리엔지니어링
2) 지식창조 활동
조직 내 형식지와 암묵지는 이식화(socialization), 분절화(articulation), 연결화(combination), 내재화(internalization) 등의 상호전환 과정을 거치면서 개인지식에서 조직 지식으로 발전한다.
1. 이식화(암묵지 → 암묵지)
개인의 암묵지가 관찰과 경험으로 옆사람의 암묵지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도제 제도하에서 제자가 스승의 도자기 기술을 전수받는 것이다.
2. 분절화(암묵지 → 형식지)
암묵지를 언어 등 실제형태로 표출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어디든지 찾아갈 수 있는 능력(암묵지)을 이용하여 실제 선택된 장소 그곳의 약도를 그려 줄 수 있는 지식(형식지)이 생긴다.
3. 연결화(형식지 → 형식지)
어느 곳의 위치를 이는 한 사람이 그 지식(형식지)을 타인에게 약도로 그려 주면 타인도 그곳에 갈 수 있으며 또 다른 남에게 약도로 그려줄 수 있는 지식(형식지)이 생긴다.
4. 내재화(형식지 → 암묵지)
여러 가지 매뉴얼(형식지)을 접하다 보면 그 방면의 경력, 노하우, 다양한 잠재능력(암묵지)이 쌓인다.
(2) 구조조정
구조조정(restructuring)이란 시스템이나 조직을 새로운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하며, 실제 기업에서 사업 포트폴리오의 개편, 부채비중 감소와 같은 자본구조의 변화, 조직구조의 혁신, 보상과 인센티브제도의 개혁, 기업문화의 혁신과 같은 기업경영의 제반 시스템의 변화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구조조정은 사업 구조조정, 재무 구조조정, 조직 구조조정 등의 3가지로 구분되다. 먼저 사업 구조조정(business portfolio restructuring)은 기업의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에 있어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사업 구조조정은 일부 사업이나 자산을 매각하거나, 해체(liquidation) 또는 분사화(spin-off)하는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있어서의 조정을 의미한다.
재무 구조조정(inancial restructuring)이란 기업의 자산의 구성비율, 즉 부채 대 자기자본 비중을 바꾸거나, 차입매수(LBO : leveraged buyout) 등을 의미한다.
조직 구조조정 (organizational restructuring)이란 기업의 조직구조를 보다 단순한 형태로 조정 하거나 조직의 규모를 축소하는 변화, 기업문화의 혁신적인 개혁을 의미한다. 조직 구조조정은 기업의 여러 사업부들을 합치거나 나누고, 권한이양의 정도를 바꾸는 것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인력조정도 발생할 수 있다.
1)리엔지니어링
리엔지니어링(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BPR) 기법은 1990년대 MIT의 해머(Michael Hammer) 교수가 제안한 것으로 기존의 업무방식을 근본적으로 재 고려하여 과격하게 비즈니스 시스템 전체를 재구성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스를 근본단위로 업무, 조직, 기업문화까지 전 부분에 대하여 대폭적으로 성취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리엔지니어링은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히고 있는데, 이러한 대안은 정보처리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에 근거한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업무의 전문화에 따른 분업을 기본으로 하여 업무방식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전문화와 분업화에 수반하는 문제는 조직에서 여러 명이 수행하는 업무의 흐름이 직렬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업무를 동시다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면 업무처리에 시간이 매우 단축될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든 부서에서 업무를 병렬적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 즉 공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 축하고 모든 부서에서 정보를 공유한다면, 병렬 작업이 많아짐에 따라서 과거보다 작업시간을 대 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그 결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 벤치마킹
벤치마킹(benchmarking)은 1970년대 미국의 제록스사가 일본 캐논사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전략으로 도입, 활용하기 시장한 것이 그 기원이다. 벤치마킹이란 조직의 업적 향상을 위해 최고 수준에 있는 다른 조직의 제품, 서비스, 업무방식 등을 서로 비교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경쟁력을 확보해나가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선활동 과정을 말한다.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상대를 정해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비교하여 상대의 강점을 파악하고 최고와 비교함으로써 동등 이상이 되기 위한 경영혁신 기법이다. 벤치마킹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최고 업체의 뛰어난 경영성과를 그대로 또는 창조적으로 모방함으로써 연구개발과 시행착오 과정에 투입되는 막대한 시간과 금전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시장에서 경쟁자가 추구하고 있는 목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새로운 기준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기업은 전략계획을 보다 쉽게 세울 수 있다.
3) 아웃소싱
기업의 활동 중에서 특정 영역을 외부 기업에게 대행시키는 것을 아웃소싱(outsourcing)이라고 한다. 아웃소싱은 자체적으로 수행할 능력이 없는 영역을 대상으로 하기도 하고, 능력이 있더라도 외부 기업에 주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에도 이루어진다. 아웃소싱을 할 때 주의할 점은 아웃소싱의 목적은 핵심적인 활동에 더욱 집중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낮은 업무를 외부에 맡긴 다는 것이다. 따라서 핵심적인 업무를 외부에 아웃 소싱하여 경쟁력을 상실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 야 한다.
▼ 아웃 소싱과 수직적 통합
기업의 성장은 가치사슬(value chain)의 통합을 통한 수직적 통합과 내부화 필요성이 적은 부분을 시장 거래로 전환하는 아웃소싱 전략으로 구현된다.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의 경우 가치사슬에서 수직적으로 연관된 기능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이웃 소싱하기 어려운 상황이거나 비용적 측면에서 내부화가 유리할 경우 수 직적 통합을 단행한다. 이
시지지 로한은 크게 가치사슬 상에 있어 소비자와 가까운 기능을 통합하는 전방 통합(forward integration)과 워 지료와 가까운 기능을 통합하는 후방 통합(backward integration)이 있다. 반대로 아웃소싱은 내부 회하지 않고, 거래에 이조 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자사의 자원을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나 약점을 보완해야 하는 상하에서
5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가치사슬 상의 흐름에서 어느 기능은 외주를 주고 어느 기능 트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이는 시장에서 외주에 따른 거래비용(transaction cost)과 내부 비용은 서로 비교하여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