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인덱스 펀드(Index fund)
인데스 펀드는 특정 지수에 포함된 증권을 그 구성비 율대로 매입한 펀드이다. 예를 들어 KOSPI 200인 덱스 펀드의 경우 200개 주식에 시장가 치비 율대로 투자한 펀드가 된다. 현실적으로 매매비용 등의 각종 비용이 존재하여 이렇게 지수를 정말 복제하지는 않으며, 대부분 80~130 종목의 범위 내에서 부분 복제를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 지수의 시장수익률과 인덱스 펀드의 수익률이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이를 추적오차(tracking error)라 한다.
4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는 인덱스펀드와 유사하나 투자자들이 일반 상장주식에 투자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트 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펀드이다. 따라서 인덱스 펀드 투자 시에는 실시간으로 펀드를 매매할 수 없으며, 운용 및 판매수수료와 환매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나, 상장지수펀드 투자 시에는 주식투자와 마찬가지로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나 매매수수료 및 장중 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2) 부동산투자신탁(REITS)
부동산 투자신탁(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은 부동산이나 부동산 담보대출에 투자하는 투자신탁으로 폐쇄형 펀드의 성격을 지닌다. 이는 주식발행 이외에도 은행에서 차입하거나 채권 또는 부동산 담보증권 (mortgage)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므로 레버리지가 높은 편이다.
제5절 재무관리의 발전과정
기업재무관리론, 금융시장론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세 가지 영역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있다. 즉 투자자와 기업은 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을 투자 또는 조달하고 있으므로, 투자자는 투자한 자금이 금융시장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기업에 투자가 되는지를 알아야 정확한 가치평가가 가능할 것이며, 기업의 재무 담당자는 보다 낮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금을 투자하기를 선호하는지, 금융시장은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재무관리는 1900년도 초까지는 경제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있었으나 그 이후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을 시작하게 된다. 1920년대부터 기업의 성장으로 외부자금 조달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맞추어 투자자들도 여러 증권 투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1930년대의 경제공황으로 인하여 재무관리의 관심사는 파산과 기업의 재조직, 유동성 관리, 정부의 규제가 되었다. 이후 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50년 초반까지 당시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된 계량적 관리기법(OR : onerations research)을 재무관리에 이용하기 시작하여 서술적인 방식을 벗어나 계량적 재무관리기법(managerial finance technique)에 주목하게 되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본격적으로 기업 내부의재무의사결정을 다루게 되었으며 다양한 자본예산기법을 이용한 투자의사결정이 주요한 주제가 되었다. 이때부터 기업의 자금조달의 최적조합 또는 개인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과 이것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가 새로운 관심사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재무관리의 발전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1 Modigliani & Miller의 자본구조무관련론(1958)
1950년대 후반부터 기업의 경쟁심화에 따라 재무의사결정에서 자본비용이 또 하나의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 이 에 Modigliani & Miller는 기존의 재무이론과는 상치되는 완전한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자본구조나 배당 결정은 기업가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이론을 주장하게 된다.
2 Markowitz의 포트폴리오 선택이론(1952)
2년에 발표되었으나 1960년 이후부터 학계에 눈길을 끌게된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은 불확실성하에서 유가
증권의 선택에 관한 내용으로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3 Treynor(1961), Sharpe(1964), Lintner(1965)의 CAPM
불확실성이라는 위험과 기대수익간의상층 관계를 통해 시장 균형 하에서 자산의 가격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되는지에 관한 내용이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CAPM; capital asset pricing model)이다. 이 이론은 현대 재무관리의 핵심적인 이론으로 기존의 기업 재무론과 투자론을 하나의 논리체계로 통합하는데 크게 기여하여다.
4 Jensen & Meckling의 대리 이론(1976)
Arrow에 의해 학문적으로 이론화된 대리인 이론은 여러 형태의 지류로 발전된다. 그중 Jensen과 Meckling에 의 목에 의하면 완전 자본시장의 체계하에서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될 수 있었으나 기업이라는 조직은 계약관계의 연속이며 시장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본인과 대리인간의 이해상충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대리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한 Williamson(1975)이 주장한 거래비용 이론(transaction cost theory)도 이러한 대리인 이론의 한 지류로 볼 수 있다. 이 이론은 조직을 생산활동에 필요한 거래의 연속으로 보고, 제한된 합리성과 기회주의적인 행동으로 인하여 경영자들은 기업의 이윤보다는 자신의 효용 극대화를 위하여 조직 규모의 확대, 과다투자 등의 행위로 인한 기업 내 거래비용과 기업 간 거래비용 등의 다양한 비용이 조지는 래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6 최근의 주제들
1980년대 후반 이후 비대칭적 정보 하에서의 자본구조이론, 배당 결정이론에 관한 기업 재무이론이 발달하였 이 며, 최근에는 비대칭적 정보 하의 증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과민반응에 의한 자본시장의 여러 이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행태주의적 재무관리(behavioral finance)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2002년 Daniel Kahneman과 Vernon Smith가 노벨상을 받음으로써 주목을 받게 된 이론으로, 투자자들의 심리상태를 고려한다면 효율 적시 장을 유지하는 합리성(rationality)과 차익거래의 원칙이 현실적으로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어떠한 내부적(경영자 보상시스템, 이사회 제도 등) 또는 외부적 시스템(M&A 등)이 갖추어져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기업 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역시 주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조사(Marekting Research) (0) | 2022.08.11 |
---|---|
경영일반 (0) | 2022.08.11 |
01.재무관리의 의의-자본시장 (0) | 2022.08.09 |
01.재무관리의 의의-제3절,제4절 (0) | 2022.08.08 |
01. 재무관리의 의의-제1절,제2절 (0) | 2022.08.08 |
댓글